최근 몇 년간 가상자산 시장에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들어 국내외 금융당국이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안 정비에 속도를 내면서,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자 관심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과 역할부터, 국내외 관련주, 그리고 규제 환경과 전망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 유로, 원화 등 실물 자산이나 기타 디지털 자산에 연동된 암호화폐입니다. 가격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달리, 가치가 고정되어 있어 송금, 결제, 거래 안정성 확보 등에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으로는 Tether(USDT), USD Coin(USDC), Dai(DAI)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각국 정부가 발행하는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와의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관련 국내외 주요 종목
1. 국내 관련주
- 카카오(035720) – 클레이튼 블록체인 기반 K-스테이블 코인 개발
- 우리기술투자(041190) –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투자
- 한화생명 –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및 스테이블 코인 관련 파트너십 확대
2. 해외 관련주
- Coinbase (NASDAQ: COIN) – USDC 공동 발행 파트너
- Circle – 스테이블 코인 전문 발행 기업
- PayPal (PYUSD) – 자체 스테이블 코인 PYUSD 출시
2025년 스테이블 코인 규제 법안 현황
2025년 현재, G7 국가를 중심으로 스테이블 코인 법안이 본격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MiCA(Markets in Crypto-Assets) 규정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 발행 요건, 준비금 보유 기준 등을 명확히 했습니다.
국내의 경우, 2023년에 통과된 디지털자산 기본법과 함께, 2025년부터 스테이블 코인 발행과 유통에 대한 세부 시행령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요건이 필수화되었습니다.
- 준비금 100% 보유 의무
- 분기별 감사보고서 제출
- 투명한 발행 구조 공개
이처럼 법적 기반이 명확해지면서, 기존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투자를 망설이던 개인과 기관도 점차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신뢰를 쌓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전망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한 가상자산을 넘어 글로벌 결제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 송금, 디지털 유통 결제, 탈중앙화 금융(DeFi) 분야에서 핵심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CBDC와 병행 또는 경쟁하는 모델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스테이블 코인의 글로벌 시가총액이 2조 달러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각국의 규제가 명확해질수록 기관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에 따라 관련 인프라 기업, 지갑 서비스 업체, 블록체인 개발사, 커스터디 기업들이 중장기 수혜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론: 규제 명확성 = 투자 기회
스테이블 코인은 이제 투기적 자산이 아닌,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법제 정비와 함께,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현실화되는 지금은 관련주에 주목할 타이밍입니다.
투자에 앞서 관련 법령 및 리스크를 충분히 검토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